안녕하세요~!!
오늘은 제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깨달은
대학생, 사회초년생 일 때의 돈관리 방법
재테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우리가 쉽게 아는 재테크 방법은
적금, 예금, 주식, 부동산, 금, 달러, 펀드, 채권 ...
등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우선 대학생일 때,
용돈을 받아 쓰거나
아르바이트로 돈을 마련하거나
기타 등등
수입이 발생합니다
돈 관리는 이 때부터 습관이 들어야
사회초년생이 되어서도 똑부러지게 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데요,
저 같은 경우
아끼라고 안합니다
많은 책이나 글, 선배의 말들은 보면
통장을 쪼개고, 사용 용도별로 구분하고
그 안에서 살펴서
불필요한 부분은 줄여서 지출을 줄이자..
말은 너무 그럴듯해요;
누가 모르나요..
그리고 한번씩 갑작스레 발생하는 지출을 줄이면
사회생활 하지 말라는 거죠
급변하는 세상에서 갑작스런 지출은 당연한 겁니다
가장 중요한 핵심은
'저축은 나누고, 쓰임은 통일하기'
무슨 말이냐면요,
대학생 때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재테크 방법은
적금이죠
하지만 적금은 말 그대로 돈을 쌓는 재미로 하는 것..
이자를 바라보고 하는게 아닙니다
그저 내 통장에 있으면 쓰여질 돈이,
적금으로 묶어서 안쓰도록 냅두는 거죠
단, 적금은 들 때
최소 3개 이상 들어갈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기 적금이 아닌 자유적립식 적금을 들게 되면
처음에 만원 정도 3개 적금 통장에 입금 시켜놓고,
그 뒤로 1원도 입금 안시켜도 상관 없거든요!
여기서 적금 통장을 3개 이상 나누는 기준은
1. 절대로 해지하지 않을 적금
2. 해지하지 않을 적금이지만 혹시나..
3. 필요할 땐 언제든 자유롭게 깰 수 있는 적금
위 사진은 신한은행 앱을 들어가시면 보이는
다양한 적금들입니다,
이자가 높은 아무거나 3개 들어가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0만원 여유자금을 저축하고 싶다,
1번 통장에 6만원
2번 통장에 2만원
3번 통장에 2만원
이런 식으로 나눠서 적금을 드는 겁니다
인생.. 어떻게 될지 모르니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요!
용돈, 아르바이트 등으로 100만원의 수입을 얻었는데,
식비, 유흥비, 기타 한달에 80만원 들어간다고 하면
20만원 중에 15만원은 1번 통장에
3만원은 2번 통장
2만원은 3번 통장에 넣습니다
그리고 남은 80만원 중에서
40만원 정도 남겨두고
나머지 40만원은 3번 통장에 넣습니다
오잉?
80만원을 지출해야하는데 40만원만 남겨놓다니요?
견물생심이라고..
체크카드를 긁을 때마다
남은 잔고가 40만원일 때와
80만원일 때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굳이 내역 다 뽑아서 아끼려고 하지 않아도
사람 심리가 돈이 얼마 없다고 생각되면
자기도 모르게 절약하는 습관이 생기더라구요!
그리고 요즘 은행 앱이 너무 잘 되어 있어서
적금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는데 1~2분이면 끝납니다
이렇게 3번 통장은 쉽게 깨고 다시 넣는
용도로 사용하는거죠!
이 방법이 제 경험상
가장 기초가 되는
돈을 관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요!
다른 곳에서는 통장쪼개기해서
식비로 쓰는 체크카드, 교통비 체크카드, 유흥 체크카드..
무슨 카드를 3개를 가지고 다녀요?
헷갈립니다 그리고..
삼성페이로 한다고 해도.. 너무 번거로워요
오래가지 못할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것보다 적금 통장을 단계별로 나누고
쓰임 체크카드는 하나로 통일한 다음,
적금 3통장을 적극활용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지하철 기다리면서 쉽게 적금 통장은 깨고 다시 만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가장 기초적인
단계별 적금 통장나누기,
그리고 체크카드 관리하는 방법을
말씀드렸는데요,
다음 글에서는 좀 더 디테일하고
다양한 방법에 대해 좀 더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LIFE > 생활의 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도 알기 쉬운 컴퓨터 구매할 때 TIP! (0) | 2020.05.22 |
---|---|
실제 경험에서 우러나온 대학생, 사회초년생 재테크 방법 - 종류 (0) | 2020.05.21 |
치킨집 창업비용은 얼마나 될까? (0) | 2020.05.18 |
치킨이란 무엇인가? (0) | 2020.05.06 |
긴급재난지원금 신청방법, 사용처, Q&A (0) | 2020.05.04 |